떠오르는 생각을 정리하는 공간
[000]독서 방법 본문
책을 읽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개인에게 맞는 방법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보편적인 방법을 알게 되어 소개하려 합니다.
저는 책을 읽은 후, 당분간은 아래와 같은 방법을 이용해서 책의 내용을 정리 할 예정입니다.
수준에 따른 독서법 (독서의 기술 by 모티머 J. 애들러)
1수준: 초급 독서(Elementary Reading)
처음 읽기와 쓰기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단계이며, 어휘 및 개념의 인식과 습득, 문맥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2수준: 점검 독서(Inspectional Reading)
'이 책은 어떠한 종류의 것으로, 무엇에 대해서 쓴 것이며,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답할 수 있는 수준의 독서를 의미합니다.
처음에는 표지, 표제, 서문, 목차, 색인을 통해 대강의 내용을 파악한 후 책의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판단되는 부분을 띄엄띄엄 읽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책의 내용을 대강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고른 책을 자세히 분석하면서 읽을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됩니다.
다음으로 통독하되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있더라도 건너뛰어 가면서 읽는 것을 말합니다.
3수준: 분석 독서(Analytical Reading)
[책의 구성의 이해]
제 1규칙(책의 분류)
자신이 읽는 책의 종류와 분야, 주제에 따라 책을 분류한다.
제 2규칙(책의 통일성)
책 전체의 내용과 저자의 의도를 한두 문장으로 간결하게 나타내 본다.
제 3규칙(책의 복합성)
책의 주요 부분을 말하고, 그 부분들이 어떠한 배열, 구조와 통일성을 가지고서 전체를 구성하는지를 나타낸다.
제 4규칙(저자의 의도)
저자가 책에서 문제 삼는 점,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파악한다.
[책의 내용의 해석과 이해]
제5규칙(단어의 이해)
저자가 사용하는 언어와 개념을 이해하고, 핵심 개념(key word)을 찾아낸다.
제6규칙(문장과 명제의 이해)
저자가 제시하는 명제나 판단을 발견한다.
제7규칙(논증의 이해)
저자가 그러한 명제나 판단을 내리게 된 이유와 논증 과정을 이해하고, 핵심 문장(key sentence)를 찾아낸다. 또 책 여기저기에 분산되어 있는 문장들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언어로 내용과 논리를 구성해 본다.
8규칙(결론의 이해)
저자가 자신이 제기한 문제에 대해 내린 해답과 해결책이 무엇인지, 또 저자가 해결하지 못한 문제는 무엇인지를 판단한다.
[책에 대한 비평]
제9규칙(책에 대한 해석)
책에 대한 정리와 해석을 끝내기 전에는 비판에 착수해서는 안 된다.
제10규칙(책에 대한 입장 선택)
책의 내용을 정리하고 그에 대한 찬성, 반대, 판단 보류, 이해 불가 등의 태도를 명확히 취하되, 시비조의 반론은 피해야 한다.
제11규칙(근거 있는 비평)
충분한 근거를 들어 책에 대해 비평하며, 지식과 개인적 의견을 확실히 구별해야 한다.
제12규칙(저자 비판 1)
저자가 지식 부족인 점을 분명히 한다.
제13규칙(저자 비판 2)
저자의 지식에 오류가 있는 점을 분명히 한다.
제14규칙(저자 비판 3)
저자의 논리성이 결여된 점을 분명히 한다.
제15규칙(저자 비판 4)
저자의 분석이나 설명이 불완전한 점을 분명히 한다.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1]강의-나의 동양고전 독법 (by 신영복) (0) | 2016.05.01 |
---|